■ 진행 : 노종면 앵커 <br />■ 출연 : 전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일 관계가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최악이라는 평가에 이견이 없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시민 사회에서는 전에 없는 강도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고 정부도 경제적 상응조치를 포함한 전방위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여권에서도 전쟁, 침략 등의 표현을 쓰는 데 주저함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역사는 이 시기를 과연 뭐라고 규정할지 그리고 지금의 대응을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합니다. <br /> <br />역사학자를 스튜디오로 초대했습니다.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우용 교수님 나오셨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전우용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노재팬, 불매운동 시작된 지 한 달이 조금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보면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국채보상운동, 그것과 비교하는 시각도 있던데 그 국채보상운동과는 어떻게 다른가요,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전우용] <br />일제강점기가 아니고 일제강점 직전이죠. 1907년부터 일어났었고요. <br /> <br />일본이 1905년 을사늑약, 또 1907년 한국의 주권을 하나하나 빼앗아가는 상황에서 당시에 나라는 대한제국이었어요. <br /> <br />고종과 순종의 나라였죠. 일반 백성은 나라의 주권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라가 일본에게 빚을 졌기 때문에 그 빚으로 인해서 우리가 주권의 제약을 받는다고 판단해서 일반 백성들이 나라 빚을 나랏님 대신 갚자라고 들고 일어났던 운동이 국채보상운동이거든요. <br /> <br />사실 우리가 국민이라는 단어를 쓰기 시작한 것도 1903년부터나 쓰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그 이전에는 국민이 아니라 그냥 신민이고 백성이었죠. 그렇게 국가에 대한 책임감. 자기가 주권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들고 일어났던 운동이라서 이게 그 당시에 이른바 일반 농민들이 농촌에서 들고 일어났던 의병전쟁에 비유하자면 평화로운 의병운동이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자기 나라도 아닌데 그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걸었던 의병과 마찬가지로 주권도 없으면서 그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자기 재산을 처분해서 나라 빚을 갚겠다고 일어났던 거거든요. <br /> <br />그때와 비교하면 지금의 불매운동이라고 하는 것은 주권자가 자기의 주권자로서의 의사를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훨씬 더 그때가 뭐랄까요. <br /> <br />격렬하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19080514532633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